분류 전체보기104 보호자의 소변백(폴리) 관리 요령~ 소변백의 설치 및 관리는 의료행위 이므로 전문 간호사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배뇨 카테터는 환자의 회음부에 삽입하게 됩니다. 이것은 환자의 소변 배출을 돕도록 하는 것입니다. 보호자나 간병인이 전문 의료인이라면 관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은 관리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의료인이 아니더라도 간병 수준에서 소변백을 관리하는 요령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1)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둔다병원에서 소변백을 환자의 침상 아래쪽에 매달에 놓는 모습을 한 번쯤은 보셨을 것입니다. 이유는 상행감염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상행감염이란 세균이 요도에서 역류하여, 방광이나 콩팥으로 올라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환자의 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무조건 .. 2025. 2. 4. 어느 알콜 중독 환자의 마지막 일생~~ 과거 어느 요양병원에서 잠시 다른 업무로 일했을 때의 일입니다. 당시 중환자실에는 60대 남자 환자분이 계셨는데, 지금은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그분의 눈동자가 노랗게 변한 것을 보고 전형적인 황달 증상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환자분은 중환자실에서 볼 수 있는 와상환자와는 조금 달랐습니다. 연세도 비교적 젊었고, 의사소통도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대화를 나눠보았습니다. "왜 입원하게 되셨나요?"라는 제 질문에 그는 "그냥 아파서 입원했다"라고 짧게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어디가 어떻게 아파서 그런 것인지에 대한 얘기는 안 했습니다.이어 "가족들은 면회를 오시나요?"라고 물었더니, 그는 단호하게 "오지 않는다"라고 했습니다. 또 다른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간호사들에게 물어보니, 환자분의 병명은 "간경변과 .. 2025. 2. 3. 요양병원 "옴" 발생이 쉬운 이유~~ 가을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귀찮은 질환이 있습니다. 바로 "옴"입니다. 옴은 질병 코드로 B86에 속합니다. 옴은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아니라 일종의 기생충입니다. 쉽게 말해,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은 벌레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기생충은 피부 속으로 들어가 굴을 파고 그 속에서 알을 낳으며 번식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야간에 심한 가려움과 물집을 동반합니다. 또한 감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가을철에 옴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 시기는 가을을 즐기기 위한 여행객들의 이동과 접촉이 활발하며, 가정에서도 애완동물을 기르는 경우도 많아 전염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을 대비해 난방을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바깥보다 높아집니다. 옴이 .. 2025. 1. 31. 쉬즈마리 창간호 부록-앙드레김 환상 패션쇼 95/4 동네 고물상에서 우연히 발견한 쉬즈마리 창간호 부록 CD입니다. 고물상 주인이 부셔서 버리려던 물건이었지만, CD 뒷면에 적힌 '앙드레 김 환상 패션쇼' 문구를 보고 바로 가져왔습니다! CD에는 '연소자 관람가'라 적혀 있고, 독특하게도 시계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숫자가 디자인되어 있더군요. 이제 내용물을 감상할 차례입니다. 하단에 글자를 넣었어요^^;; 2025. 1. 30. 요양병원 세탁물 관리~ 이번 포스팅은 요양병원 환자가 사용한 세탁물 관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요양병원에서는 침구류나 의류 등이 오염되었을 경우, 이를 교체하고 수거자루에 담아서 지정 세탁업체를 통해 세탁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부족할 경우 오염도가 낮은 침구류나 의류(예: 환자 내복 등)를 선별하여 자체 세탁 후 건조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병원용 세탁물을 자체 세탁을 하면 소독이 진행되지 않기에 의료법 위반소지가 있으나, 일부 요양병원은 환복이 부족하기에 그렇게 합니다. 그리고 환자가 입었던 사복이나 내복, 양발, 수건 등은 세탁업체에 의뢰가 안되기 때문에 자체 세탁을 해야 하고, 아침의 세안수건과 목욕 수건도 자체 세탁을 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건조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온으로 건조하여 세탁물을 빠르게 재사용하도록 .. 2025. 1. 29. 기본 입원비와 간병비가 적은 요양병원은? 요양병원에 입원을 하시게 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걱정거리는 병원비용입니다. 대부분 가깝거나, 병원비용이 저렴한곳에 입원을 하시길 원하실것입니다. 간병일을 하면서 배운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요양병원마다 차이는 있지만, 지역별로 혹은 도시 구역별로 편차가 존재합니다. 사례로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부산에 있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비용 문제 때문입니다. 물론 보호자는 서울에서 부산까지 왕복해야 면회를 할 수 있고, 교통비 지출도 있지만, 대면보다는 모바일(전화) 면회로 해결하기도 합니다. 같은 도시 구역이라도 시내보다 시외 지역이 약간 더 저렴할 수 있습니다. 강남구와 강북구가 다르듯이, 부산도 시내권과 시외권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통상 요양병원은 1인당.. 2025. 1. 28. 이전 1 2 3 4 ··· 18 다음 728x90 반응형